레미제라블을 보았다. 아주 좋은 영화였다. 원저를 읽지 않은 사람이라도, 감동을 충분히 받을 만한 영화이다. 이 영화에 대한 찬사와 역사적인 의미에 대해서는 이미 여러 미디어를 통해 알려졌다. 그래서 특별히 이 영화내용이라든지 레미제라브 원작에 대한 내용 자체에 대해 이야기하고 싶지는 않다.


다만, 한가지 나의 관심을 끈 점은 이 영화의 원작이 프랑스 저자인 빅토르 위고였다는 점이다. 그리고 내용의 배경 역시 모두 프랑스이고, 프랑스 역사를 알아야 깊은 이해를 할 수 있는 영화인다. 그런데 모두 영어로 극이 진행된다. 이제 영어가 국제공용어로서 위치로 자리 잡았기 때문에 영어로 진행되는 것은 자연스러웠다. 아마도 불어로 영화를 보았다면 왠지 예술영화느낌이 나고 이해하는데 좀 더 힘들 수도 있었겠다 (물론 프랑스인을 제외하고 말이다).


빅토르 위고는 프랑스는 물론이거니와 세계적인 대문호이다. 프랑스인들은 이런 대문호인 빅토르 위를 자랑스러워 할 만하다. 그런데 이런 프랑스가 낳고 키운 대문호의 작품이 영어로 사람들이 읽고, 뮤지컬로 즐기고, 영화로 보면, 프랑스인들은 어떠한 느낌일까하는 궁금증이 생겼다. 짐작하건데 100% 유쾌한 감정만은 아닐 것이라고 생각한다.


예를 들어, 열하 박지원 선생님께서 지은 허생전을 후대에 일본인들이 각색하여 뮤지컬로 만들고, 영화로 만들어 전세계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생각해보자. 그렇다면 우리는 박지원선생님의 허생전이 전세계적으로 알려져서 좋아할 것인지 아니면 일본인이 허생전을 뺏어갔다고 생각할 지 생각하면 비슷할 수 있다고 본다. 대개 화를 낼 가능성도 있다. 왜냐하면 우리나라 김치를 일본인들이 자기네들의 입맛으로 바꾸어 기무치로 세계에 소개하는 것에 화가 난다면 이 경우에도 부정적인 감정을 느낄 수 있다.


빅토르 위고가 살았던 1800년대에는 영어와 불어가 가지는 언어적인 위상이 그렇게 크지 않았다. 영어가 공용어가 된 계기가 영국의 국력때문도 있겠지만, 20세기의 강자 미국의 힘이 결정적이었다. 그동안 세계를 패권을 잡은 여러 나라가 있었다. 하지만 20세기에 때마친 교통과 통신이 발달하고 1990년대 소련이 몰락한후 정보화 시대에 발맞추어 미국이 최강 패권국가 되면서 영어는 세계어로 위치를 확립하게 된다.


이러한 상황에서 레미제라블 같은 프랑스 문학의 족적을 남긴 작품도 영어로 번역되어 전세계로 퍼져나간 것이다. 제목자체가 워낙 불어느낌이 나서 다행(?)일지 모르겠지만, 빅토르 위고는 살아 생전에 자신의 작품이 영어로 전세계에 퍼져나갈 것이라고 상상하지 못했을 것이다. 우리 문화도 마찬 가지의 입장일 수도 있겠다. 영어로 변환되서라도 세계무대로 나갈 것인지, 한글을 고수하면서 순수성을 지킬지. 정답은 없을 것이다. 다만 선택이 있을 뿐.






'Movie' 카테고리의 다른 글

<Upside Down> 구별짓기  (0) 2017.04.04
<Life of Pi> 인생은 하나의 표류  (0) 2017.03.26
The Ides of March (2011)  (0) 2014.11.21
Billy Elliot (2000)  (0) 2014.10.22
posted by yslee

<Rise of the robots>

Book 2017. 3. 15. 03:37


인공지능의 나날이 발달함으로써 로봇이 차지하는 역할은 나날이 커져가고 있다. 그에 따라 인류의 삶도 많은 영향을 받고 있다. 인공지능의 발달은 명과 암을 동시에 가지고 있다. 아무래도 나아질 면은 아무래도 인간이 3D 업종에서 덜 일할 수 있고, 사람들은 더 많은 여가시간을 가질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유토피아이겠지만, 현실은 그렇지 않다.

 

디스토피아적인 면이 여러있다. 당면한 문제는 인간이 할 수 있는 직업의 소실이다. 로봇은 더 효율적으로 싼 값에 일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서서히 혹은 매우 빠른 속도로 인간이 하고 있는 직업을 대체하고 있다. 단순 노무뿐만 아니라 의사나 회계사 같은 소위 많은 교육이 필요한 직업조차도 위협받고 있다. 극단적으로는 예술마저도 로봇이 할 수 있다고 점쳐지고 있다.

 

자본주의 체제 안에서 로봇의 영역은 넓어질 것이다. 왜냐하면 기업들이 돈이 많이 드는 인력을 고용하기 보다는 초기비용을 제외하고는 더 싸게 먹히는 기계를 더 이용할 것이기 때문이다. 그런데 역설적으로 이런 로봇이 자본주의를 파괴할 수 있다는 것이다. 저자는 다음과 같이 자동화의 역설을 이야기한다.

So if automation eliminates a substantial fraction of the jobs that consumers rely on, or if wages are driven so low that very few people have significant income, then it is difficult to see how a modern mass-market economy could continue to thrive (p.197).

 

, 자동화로 인하여 사람들이 직업을 잃게되어 소비를 못하면 자본주의는 붕괴하게 된다. 궁극적으로 노동자도 소비자이기 때문에 로봇이 노동자의 지위를 박탈한다면 소비자도 급감한다. 소비가 없는 시장은 존재하지 않는다. 자본주의가 뾰족한 수를 써서 대안을 제시하지 않는한 자본주의는 위기를 맞이하게 된다. 기술이 발전하면서 소수의 사람은 천문학적인 돈을 벌고 그 외의 사람들의 가처분 소득은 줄어든다. 이런 상태에서 시장은 활기를 잃을 것이다. 몇몇의 경제학자들은 낙수효과를 이야기 할지도 모르겠다. 하지만 극소수의 사람들이 돈을 많이 쓰더라고, 그 영향은 다수의 사람들이 넉넉히 쓰는 것에 비하면 아주 미미하기 때문에 자본주의 사회는 위협을 당하게 된다.

 

세상은 빠르게 변해간다. 기술의 발전은 막을 수 없을 것이다. 그렇다면 사람들은 시장과는 다른 목적함수를 가진 정부에 어떠한 역할을 요구해야한다. 아마도 스위스에서 제시된 기본임금제와 같은 정책들이 논의되어야 할 것이다.

'Book'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선왕조실톡>  (0) 2017.03.30
<In government we trust>  (0) 2017.03.26
<클래식 노트>  (0) 2017.03.08
<Bowling alone: The collapse and revival of American Community>  (0) 2017.02.28
<Soft power>  (0) 2017.02.23
posted by yslee

<클래식 노트>

Book 2017. 3. 8. 17:10


사실 살면서 많은 클래식 음악을 듣게 된다. 학교에서 교육을 받을 때부터 광고음악까지 클래식 음악은 친숙한 음악이다. 음악을 듣고 즐기는 데 지식은 사실 필요 없다. 심지어 때로는 음악에 대한 사전지식이 온전한 감상을 방해하기도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어느 정도 음악에 익숙해지면 클래식 음악의 구성이 어떻게 되고, 연원이 어떻게 되는지 안다면 더 깊게 들을 수 있다. <클래식 노트>는 음악의 문외한인 나에게 이런저런 기초 지식을 쌓게 해주었다.

 

가장 기억이 남는 부분은 지휘자의 역할에 대한 글이었다. 나는 항상 도대체 지휘자는 무엇을 하는 사람인지 궁금해왔다. 아마도 예전에 전교생이 모여 조회시간에 애국가나 교가를 부를때, 음악에 조예가 없는 학생이 앞에 나가서 지휘봉을 쥐고 지휘했던 기억이 있다. 이런 것이 지휘자에 대한 오해가 시작되었던 것 같다. 단지 연주자 앞에서 손짓하는 사람이 아니라는 것은 <노다메 칸타빌레><베토벤 바이러스>를 보면서 조금 알았지만 글을 통해 다시 한번 그 중요성에 대해 느끼게 되었다.

 

이 뿐만 아니라 클래식 음악을 듣고 공연장에서 보았던 사람이라면 흥미로운 주제들을 책은 속시원하게 이야기해주었다. 예를 들면, 팀파니스트는 한가한가에 대한 글도 지휘자와 비슷한 이유로 궁금했는데 재미있게 읽었다.

 




'Book' 카테고리의 다른 글

<In government we trust>  (0) 2017.03.26
<Rise of the robots>  (0) 2017.03.15
<Bowling alone: The collapse and revival of American Community>  (0) 2017.02.28
<Soft power>  (0) 2017.02.23
<Common Wealth: Economics for a Crowded Planet>  (0) 2017.02.20
posted by ysl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