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미라 <완벽하지 않아도 괜찮아>

Book 2020. 6. 9. 01:42

육아는 어렵다. 어른 세대의 분들은 여러 명 키웠는데도 그렇게 어렵지 않게 키웠던 것 같은데, 요즘 세대는 많이 키우지도 않는데 어렵다고 하는 것 같다. 나는 이에 대한 현상에 대해서 여러 가지 이유가 있다고 생각한다. 우선 첫째 어른 세대 때도 어려웠는데 나이가 들었더니 까먹었다고 본다. 예를 들어 지금 60대 때 어른들도 분명 육아가 힘들어서 그 윗세대(지금 80~90대)에게 푸념을 했을 태고, 그 윗세대는 아마도 요즘 애들은 뭐가 힘들냐고 쏘아붙였을 것 같다. 그런데 세월이 흘러서 잊혀지고 요즘 세대를 보면 징징거린다고 이야기를 할 수도 있다. 그런 의미에서 요즘 아이를 키우는 세대도 20~30년 후에 자신의 자식세대가 아이를 키우며 힘들다고 하면 나때는 하나도 안힘들었는데 너희는 도대체 왜 그렇게 힘드냐고 뭐라고 할 수 있다(어쩌면 미래에는 육아도우미 로봇이 있을 수도 있겠다).   또 다른 이유는 아마도 적게 낳기 때문인지 잘 키워야 한다는 기대와 압박이 예전보다 높아진 것 같다. 물론 예전에도 아이를 사랑하는 마음은 같겠지만 우리나라 수준이 올라가고, 여러명 키울 것을 1~2명만 낳다보니 다채로운 교육을 시키고 싶어하고, 때로는 외국에 나가서 외국어도 배우게 하고 싶어하고, 그와 중에 자연친화적인 삶도 살게 싶어하는등 좋은 것이라면 아이에게 모든 것을 하고 싶어 하는 경향이 강해졌다. 이러한 정신적인 압박이 육아에 대한 스트레스를 크게 늘린 것 같다. 이유가 어떻게 되었든 육아에 대한 스트레스가 존재하는 것은 분명하다. 그리고 극심할 경우, 자살이나 살인, 학대 같은 심각한 병리현상이 일어날 수 있다. 그러므로 이 스트레스를 풀어야 한다. 박미라씨가 지은 <완벽하지 않아도 괜찮아>는 만병통치약처럼 이 책을 읽으면 육아 스트레스가 저절로 없어지지는 않지만, 분명히 위안이 되고 해결책을 모색하는데 도움이 된다. 박미라씨는 육아하는 여자가 느낄 수 있는 50여개의 주제를 이야기하였다. 아마도 실제로 상담한 부분을 기초로 해서 그런지 더욱 더 현실감이 있었다. 너무 극단적인 경우는 거의 없었고 애를 키우는 부모라면 한번즈음 느꼈을 법한 이야기를 마음을 어루만지듯이 때로는 조언을 (도대체 해결책이 없는 경우라면) 공감을 하면서 이야기를 풀어간다. 그리고 아주 근본적인 것부터 소소한 문제까지 두루두루 상담을 하고 있다. 예를 들어, 출산 후에 여성이 자신의 삶이 없어진 느낌을 받을 때가 많다. 육아의 근본적인 문제라고 볼 수 있다. 아기를 낳기 전에 누렸던 것들을 철저히 희생해야 할 때가 많기 때문이다. 박미라씨는 따듯하게 잃은 것도 있지만 아기를 통해서 얻는 것이 있고, 희생하는 과정에서 진정한 어른이 된다는 것을 이야기한다. 어쩌면 당연한 이야기 일수도 있겠지만, 우리가 그 당연함을 잊고 살기 때문에 더 힘들게 느껴지는 것은 아닌가 한다. 근본적인 것 뿐만 아니라 언뜻보기에는 별거 아닌 고민이라고 생각도 나와있다. 예를 들어, 결혼하고 육아를 하고 나면 결혼을 하지 않은 친구와는 조금 멀어지게 마련이다. 누군가는 이를 어쩔 수 없다고 생각할 수도 있겠지만, 굉장히 아끼는 친구였다면 진지하게 고민이 될 문제가 될 것이다. 저자는 이에 대해 가볍게 넘기지 않고 정성껏 응답해주었다. 또한 시대가 많이 바뀌었다고 생각하는 고민도 있었는데, 아들 둘을 키우는 엄마의 스트레스였다. 아직도 그러는 경우가 있지만, 얼마 전만해도 대를 이어야 한다는 생각이 우리나라에 워낙 강했기 때문에 딸 둘을 가진 것이 죄인 시대가 있을 지언정 아들 둘이 스트레스인적은 없었다. 그런데 요즈음 딸 둘을 아들 둘보다는 낫다고 생각하는 사람이 많이 늘었다. 이런 점은 달라진 세태를 잘 보여주는 고민이었다. 살아가면서 고민이 없을 수는 없다. 다만 이런 저런 이야기를 들어가며 잘 풀어갈 수 밖에 없다.

posted by yslee

<양육쇼크>

Book 2019. 10. 17. 22:52

아이를 어른으로 키워내는 과정은 정말 어려운 일이다. 심지어 대충 성인이 되는 것까지 보는 것만으로도 어려운 데 훌륭한 사람으로 만드는 일은 더더욱 어려운 일이다. 몇몇 예외를 제외하고는 부모들은 자신의 아이가 잘 자리기를 바라고 노력한다. 그런데 잘 자란다는 의미는 사람마다 다르고 심지어 목표가 같더라도 방법은 각기 다를 수 있다. 그래서 육아에는 어쩌면 왕도가 없을 수도 있겠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몇몇 육아스타일은 인기를 얻고 부모들에게 지지를 받기도 한다. 시대환경과 가치관이 바뀌기 떄문에 육아스타일도 바뀌기도 한다. <양육쇼크>는 육아에 대한 고정관념에 도전하는 책이다.

첫 번째 장인 <칭찬의 역효과>부터 생각을 많이 해보게 하는 도전적인 내용이 담겨있다. 언젠가부터 아이들을 칭찬하는 것에 우리는 익숙해졌다. <칭찬은 고래를 춤추게 한다>식의 사고방식은 칭찬을 마치 만병통치약으로 착각하게 만들 수 있다. 게다가 요즘같이 아이를 보통 1명 많아야 2명 낳는 시대에 부모는 아이들이 너무 귀여워 칭찬을 아낌없이 한다. 하지만 칭찬에도 어두운 점이 있다. 칭찬에 중독된 아이들이 칭찬받지 못할 일은 아예 하지 않거나 일찍 포기해 버린다는 것이다. 그리고 칭찬받을 수 있는 쉬운 일만 골라서 한다는 것이다. 이렇게 되면 아이의 발전에는 큰 지장이 오게 된다.

나는 이것이 미국식 교육이 병폐라고 생각한다. 물론 미국식 교육에는 강점이 많다. 아이들의 잠재력을 끌어내고 할 수 있다는 정신을 독려하는 것이다. 그런데 때로는 시도때로 없이 할 수 있다는 등 남에게 피해가 갈 수 있는 상황도 괜찮다는 느낌을 줄 수 있다. 간혹 미국에서는 아이가 부정적으로 생각할 까봐 “No”를 어떻게든 하지 않는 경우가 있다. 그런데 이러한 과도한 긍정적인 삶은 오히려 삶에 해독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물론 어느 정도 자신감을 불어넣어주고 예스를 외치는 것은 중요하다. 그런데 너무 긍정적인 것은 긍정적인 것만 못한 과유불급의 상태에 빠질 수 있게 한다.

7장의 <자제심은 학습이 가능한가?>도 재미있게 읽었다. 교사는 겉으로 보아서는 하는 일이 별로 없어보인다. 예전에 배웠던 것을 학생들에게 알려주기만 하면 되는 것처럼 보인다. 하지만 막상 교실에 가보면 절대 그렇지 않다. 야생마같은 학생들을 진정시키고 공부시키는 것은 꽤나 극한직업을 떠오르게 한다. 이러한 학생들을 조련(?)하기 위해서는 윽박지르는 것이 아니라 흥미를 불어넣어주어야 한다는 것이다. 책에서 소개한 마음의 도구들(Tools of the mind)’는 효과적으로 쓰이고 있는 모양이다. 교사는 직접 가르치기 보다는 학생들은 흥미를 촉진시키는데 집중한다. 그래서 궁극적으로 학생들은 스스로 공부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고 공부를 잘 하게 될 수 있는 것이다.

이를 우리나라에 도입하려고 해도 문제가 되는 것은 아마도 입시일 것이다. 우리나라 교육문제의 모든 것은 입시과 관련하고 있다. 아무리 학생에게 인성에 도움이 되고 학습능력에도 도움이 되더라도 좋은 대학에 가는데 효과적이지 못한다면 그 방법은 받아들여지지 않는다. 책에서 소개된 마음의 도구들도 마찬가지로 배척당할 가능성이 크다(받아 들여지더라도 초등학교 수준에서만 가능할 것 같다).

또한 우리가 오랫동안 교사의 역할에 대해서도 변화가 필요하다. 우리가 생각하는 교사라함은 모름지기 학생에게 지식을 전달해주는 사람이다. 그렇기 때문에 흥미를 유발하는 역할을 하는 교사는 배척당할 가능성이 크다. 왜냐하면 하는 일 없이 학생들하고 농담따먹기나 하는 사람취급을 당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지식은 이미 인류가 소화할 수 없을 만큼 많이 졌고, 얼마나 아느냐보다 아는 것을 어떻게 쓰느냐가 중요한 시기에 교사의 새로운 역할이 중요하다 하겠다.

'Book'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자유주의>  (0) 2019.10.26
<세상읽기와 세상만들기>  (0) 2019.10.25
<국가재정제도>  (0) 2019.10.17
<한국사회 이해의 새로운 패러다임>  (0) 2019.10.14
<Linked>  (0) 2019.10.12
posted by ysl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