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Great Divide>

Book 2017. 4. 16. 10:56


 

우리나라에서 헬조선이라는 이야기가 나온지는 이제 꽤 되었다. 그렇다고 다른 나라들이 헤븐인 것은 아니다. 특히 우리나라가 많이 따라하려고 하는 미국도 이 책은 헬미국으로 부를 만한다. 물론 헬조선과 헬미국이 같은 것은 아니지만 닮아있는 점도 꽤 많다.

 

우리와 미국이 닮은 이유 중 하나는 시장의 폐해일 것이다. 시장원리가 가져다 주는 많은 장점이 있다. 하지만 불평등의 심화는 자본주의가 가진 가장 극명한 폐해 중 하나이다. 극소수의 사람들은 막대한 부를 누리고 대다수의 사람들은 빈곤에 시달리는 상황은 사회를 병들게 한다. 그리고 궁극적으로 사회를 붕괴시킨다.

 

이런 점으로 인하여 정부의 역할이 중요하다. 저자는 미국정부에서는 소수의 부유층이 더 잘 사는 방향으로 국정을 운영하는 데 문제가 있다고 여러가지 예를 통해 통렬히 비판하고 있다. 특히, 부시정부의 문제점을 맹비난하고, 오바마 정부의 부족한 점을 지적했다. 이 책이 출간된 뒤에 출범한 트럼프 정부를 본다면 스티글라츠는 아마도 심한 두통에 시달릴 것이다.

 

물론 정부가 선은 아니다. 정부에 대한 신뢰는 바닥으로 떨어지고 있는 상황에서 시장을 규제하는 역할을 정부가 한다는 것을 믿지 못할 수도 있다. 하지만 특별한 대안이 없다면 정부가 규제하는 것 자체를 비판하기 보다는 어떻게 규제를 효과적으로 하느냐에 초점을 두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정부가 능력있고 투명하게 일을 진행시킬 수 있게 만들어야하는 데 중심을 두어야 할 것이다.

 

 





'Book' 카테고리의 다른 글

<포트레이트 인 재즈>  (0) 2017.05.06
<철학 읽어 주는 남자>  (0) 2017.04.22
<Paint it rock>  (0) 2017.04.10
<조선왕조실톡>  (0) 2017.03.30
<In government we trust>  (0) 2017.03.26
posted by yslee

<Paint it rock>

Book 2017. 4. 10. 14:08


음악은 그저 듣고 즐기면 일단 그만일 수도 있다. 하지만 음악은 사람에게 여러 감정을 불러일으키는 아주 중요한 존재이다. 그런데 때로는 음악 혹은 그 음악을 만든 가수에 대해 알면 그동안 느끼지 못한 부분을 알 수 있게 된다. <Paint it rock>은 락 장르의 음악의 역사를 인물 및 그룹의 음악적 행보를 통해서 보여준다. 그 결과 락음악을 더 풍성하게 들을 수 있게 되었다.

 

더불어 알고 있었던 가수들에 대해서는 더 잘 알게 되고, 모르던 가수에 대해서는 소개를 받은 느낌이다. 예를 들어 The Who, Animals의 노래는 이미 친숙한데, 그동안 이 그룹 이름조차 몰랐었다. 이 책 덕분에 여러 밴드, 가수들의 노래를 찾아들었고 꽤 많은 곡들은 이미 내가 영화음악, 드라마 음악을 통해 들었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이렇게 좋은 곡들을 알게 됨에 따라 나의 삶의 즐거움이 보다 확장되었다.

 

<Paint it rock> 시리즈가 단순히 락음악을 위한 지침서 기능을 하는 것은 아니다. 책 자체가 유머와 위트가 곳곳에 있어서 아주 재미있게 읽을 수 있었다. 만화여서 그런지 내용과 재미를 동시에 잡았다. 고마운 책이다.




'Book'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철학 읽어 주는 남자>  (0) 2017.04.22
<The Great Divide>  (0) 2017.04.16
<조선왕조실톡>  (0) 2017.03.30
<In government we trust>  (0) 2017.03.26
<Rise of the robots>  (0) 2017.03.15
posted by yslee

<Upside Down> 구별짓기

Movie 2017. 4. 4. 14:46



Upside down는 아주 흥미로운 설정을 가진영화이다.

이 영화에 나오는 설정은 공상과학으로 치부할 수 있을 수 있지만 현실에도 존재한다.

겉으로는 계층이 없는 것처럼 보일 수도 혹은 있더라도 어렵지 않게 이동이 가능할 수도 있게 보일지라도,

영화에서의 윗세계와 아래세계처럼 넘기 힘든 선이 있다.


우리는 다양한 구별을 한다.

인종 (인종이 말처럼 쉽게 구분되지 않다. 크게는 흑인, 백인, 라틴, 아시아로 나누겠지만, 세세하게 나누면 아주 많다.) ,

국적 (국가 안에서는 고향이 어디인지) 등등 처럼 말이다.


그리고 영화에서 윗세계에 사는 여자와 아래세계에 사는 남자아 아주 어렵게 사랑을 꽃피우는 것처럼,

차이가 있으면 아주 어렵게 인연을 이어갈 수 밖에 없다.

인간은 여러모로 다르다. 하지만 인간이라는 점에서는 같다.

굳이 차이점을 부각시켜서 사람들 사이를 갈라놓기보다는

공통점이 있다는 것을 강조해야하지 않을까한다.

posted by ysl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