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리스트
최장집에 해당되는 글 2건
- 2021.07.01 최장집 <민주화 이후의 민주주의>
- 2018.05.07 <정치의 공간>
글
정치는 우리 생활에 중요한 역할을 미친다. 정치인이 어떠한 정책을 진행시키고 법을 만드냐에 따라서 사회의 질은 좌지우지된다. 문제는 정치는 그다지 깨끗하지 않은 과정이다. 일단 사람마다 원하는 것이 다르기 때문에 여러 갈등을 노정하고 봉합하는 과정은 마치 깨끗한 수술이 드문것과 마찬가지로 어렵고 때로는 꺼려지는 과정이기는 하다. 그리고 사람들의 가치관이나 신념체계에 따라서 이성적인 숙의가 어려운 것도 정치이기도 하다. 정치뉴스 댓글에 가면 별의별 말도 여과되지 않은 의견들이 범람하고 있다. 그래서 정치하면 진절머리가 나는 사람도 많을 것이다. 하지만 정치는 피할 수 없는 숙명이다. 이 숙명을 받아들이고 더 나은 길을 개척하려면 약간의 정치 해설서 같은 것이 필요하다. 최장집 교수의 <민주화 이후의 민주주의>는 2021년을 살아가는 우리가 차분히 읽어볼만 양서이다.
책 제목은 <민주화 이후의 민주주의>이지만 문민정부가 들어서기 훨씬 전인 대한민국 건국때부터 이 책은 거슬러 올라간다. 그래서 민주화 이후의 민주주의를 설명하기 위해서 민주화 이전의 민주주의를 알아볼 필요가 있는 책은 현상태에 이르게 한 우리나라의 여러 중요한 포인트를 잘 정리해두었다. 나는 우리나라만 지금 상태에 이를 때까지 역사적 고통을 받았다고 생각하지는 않는다. 물론 식민치하를 겪었고, 동족상잔의 아픔도 겪었고, 군부독재도 거쳤다. 이 모든 것 어느 것 하나 극복하는 것이 순탄하지는 않았다. 하지만 이는 여러 아프리카, 아시아, 남아메리카 국가도 식민지, 내전, 독재를 경험하였기 때문에 우리만의 독특한 경험은 아니다. 하지만 우리나라가 대단한 것은 이것을 겪어 내고 선진국 대열에 선 것이다. 이는 세계적으로도 찾아보기 어려운 사례이다. 책을 읽으면서 여러 문제가 있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포기하지 않고 역사적인 전진을 이룩한 것에 대한 자긍심을 느꼈다.
우리 사회가 어떤 영웅적 해결자를 갈구하게 되는 것이 반드시 좋은 것은 아니다. 이런 사회 심리적 경향은 과도한 기대와 실망을 반복하게 만드는 부정적 효과를 가질 수 있으며, 이는 현실적이고 건전한 대안을 조직하고 제도화하는 것을 어렵게 한다(255쪽).
문제는 지금부터이다. 대통령제인 우리나라는 아직도 대통령의 권한이 제왕적 대통령이라는 이야기가 나올 정도로 강력하다. 그래서인지 시민이 대통령에 대한 기대가 상당하다. 최장집 교수는 이러한 기대가 실망을 가져온다고 지적하고 있다. 우리나라가 한발 더 나아가려면 누구한명이 바뀌어서 갑자기 선진화를 꿈꾸기 보다는 시스템으로 사회가 움직여야 한다. 여기서 시스템으로 사회가 움직인다는 것이 기득권을 위한 사회를 말하는 것이 아니다. 누구나에게 납득이 가능한 시스템으로 나라가 운영되어야 하는 것이다. 그래서 민주주의도 더 깊이 우리나라에 뿌리내릴 수 있을 것이다.
민주주의에서 사회적 합의는 만장일치의 개념이 아니라, 여러 대안들 간의 경쟁을 통해 다수 의사를 만들어 내는 과정과 그 결과를 말한다(251쪽).
근래 걱정스러운 부분은 사회적 갈등이 첨예해진다는 것이다. 물론 갈등이 있는 것은 사회가 살아있다는 것이다. 어느 정도의 갈등은 건강하다는 방증일 수도 있다. 하지만 너무 극단적인 갈등은 병이다. 일단 사회적 합의를 이루기 위해서 타인의 생각을 바꿀 생각을 하면 안된다. 일단 인정은 하되 현실적이 상황에 가장 적합한 방안을 찾고 그것을 선택해야 한다. 그래야 갈등이 병적인 수준으로 가지 않을 것이다. 물론 이것이 말은 쉽다는 것을 안다. 그래서 현실적으로 갈등을 사회적 합의로 승화시키는 시민적인 훈련이 필요하다.
'Book'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임혁백 <세계화시대의 민주주의> (0) | 2021.07.05 |
---|---|
L 엘리엇 <땅콩박사> (0) | 2021.07.04 |
전범선 <해방촌의 채식주의자> (0) | 2021.06.21 |
김용옥 <도올의 중국일기 4> (0) | 2021.06.13 |
마이클 센델 <정의란 무엇인가> (0) | 2021.05.27 |
글
최장집 선생님의 최신작인 <정치의 공간>은 크게 3가지를 주제를 다루었다: (1) 북한과의 문제, (2) 개혁보수, (3) 코포라티즘. 이 중요한 3가지 주제에 대하여 선생님의 명쾌한 의견을 읽을 수 있었다. 내용을 감히 극도로 축약하자면, 첫번째 문제와 관련해서는 북한을 하나의 국가로 인정해야 평화롭게 해결할 수 있다는 것이다. 사실 나 역시 북한은 궤멸되어야 한다는 의견을 갖고 있었다. 그래서 한동안 북한과의 전쟁을 불사해야 한다는 생각을 가지고 있었다. 그러다가 중국이 너무 커지고, 전쟁이 일어날 경우 우리에게 미칠 영향을 막대할 정도로 우리 사회가 고도로 도시화되다보니 현실적으로 북한을 무력으로 안전하게 제거할 수는 없다면 어쩔 수 없지만 평화롭게 통일해야겠다는 생각을 했다. 또한 북한을 적대하는 9년간의 이명박, 박근혜 정부가 보여준 국방에서의 무능은 나를 실망하게 했다. 게다가 문재인 정부가 북한과 소통하여 길을 열려고 하는 모습이 상당히 합리적이라고 생각하기에, 북한을 하나의 대상으로 인정해야 겠다는 인식을 점차 갖게 되었다. 그런 상황에서 최장집 선생님의 의견은 새롭게 내가 북한 문제를 보아야하는데 길잡이가 되었다.
두번째, 개혁보수에 대해서 선생께서는 명쾌하게 개혁보수가 나타내는 바를 그래프로 보여주었다. 사실 "개혁보수"라는 단어가 마치 "앙꼬없는 찐빵"이나 "무알콜맥주"같은 느낌을 받게 한다. 선생께서는 수평축을 좌파-우파로 나누고 수직축을 국가주의-자유주의(혹은 다원주의)로 나누어서 지금 우파-국가주의에 치우쳐있는 보수를 조금 좌쪽 그리고 자유주의쪽으로 내리는 공간을 개혁보수라 이야기 했는데, 내가 생각해도 그런 것 같다. 현실의 정치인들은 이를 알고 개혁보수를 주창하는지 모르겠지만, 확실히 좋은 참고가 될 것이다.
마지막으로는 한국형 코포라티즘이다. 이름에서도 알 수 있듯이, 우리나라에서 만들어진 개념이 아니다. 수입해서 우리에게 적용되어 나타난 예가 노사정 위원회이다. 선생께서는 우리나라 코포라티즘은 아직도 너무 정부에게 치우쳐있다고 일갈한다. 그리고 아직 힘이 덜 실린 노동쪽에 영향력을 주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나도 이에 동감한다. 그동안 오랜 세월동안 노동이라고 하면, "투쟁" "갈등"이라는 그렇게 긍정적인 이미지가 아니어서 도외시해왔는데, 시민들은 어떠한 형태로든 거의 대부분 노동자이고 그 주체로서 목소리를 내야한다고 보는데 인식의 변화가 아직도 많이 필요하다. 이런 상황에서 코포라티즘은 시민들에게 새로운 관점을 갖게하는 개념이 될 수 있고, 현실에서도 큰 함의가 있을 것이다.
'Book'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샐러드를 좋아하는 사자> (0) | 2018.05.17 |
---|---|
<사회 연결망 이론> (0) | 2018.05.15 |
<역설과 반전의 대륙> (0) | 2018.05.03 |
<강철의 연금술사 Chronicle> (0) | 2018.05.03 |
<세상에서 가장 쉬운 베이즈통계학 입문> (0) | 2018.04.23 |
RECENT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