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reakonomics>

Book 2019. 7. 18. 02:28

경제는 중요하다. 매일 같이 언론에서는 경제에 대해서 이야기하고 있다. GDP, 실업률, 물가 같은 나라적 경제 뿐만 아니라 저축, 이율, 소득 같은 개인적인 경제도 매우 중요하다. 이 자본주의를 살아가면서 경제를 신경쓰지 않고 살기는 정말 공기없이 살아가는 것만큼이나 어렵다. 그리고 경제학은 이러한 주제를 가지고 연구를 한다. 그런데 경제학은 꼭 실물경제에만 도움이 되는 것은 아니다. 우리가 살아가는 생활방식이라든지 경제 외적인 이슈에 대해서도 합리적인 추론 방식을 제공한다. 그래서 적어도 사회과학에서는 경제학에서 기반한 여러 통계기법으로 여러 예측을 하기도 하고 일어난 일에 대해서 분석을 하기도 한다. <Freakonomics>는 실물경제에 대한 이야기가 아니라 경제학적인 사고방식으로 사회문제를 파악한 책이다.

이 책에서는 경제학에서 주로 쓰이는 수식이 전혀 나오지 않는다. 오로지 말로 서술을 마치는데 이는 아마도 경제학자인 Levitt과 저술가인 Dubner가 공저했기 때문에 가능한 일일 것이다. 이 둘은 세상돌아가는 일에 대해 호기심을 가지고 경제학적인 사고 방식을 가지고 답을 구하려고 한다. 그 경제학적 사고방식 중 중요한 가정의 하나가 인간은 유인(incentive)에 반응한다이다.

저자들은 어떻게 학교선생들이 학생성적을 올리려고 사기를 쳤는지 차분하게 보여주었다. 미국 부시대통령 시절, 학업성취도를 올리고자 학생들의 성적에 따라 교사들의 성과급을 주었다. 이러한 변화는 교사들의 행동에도 변화를 주었는데 특히 시험답안을 고치는 수준까지 이르렀다. 이러한 작태에 대해서 충분히 비판할 수 있겠다. 그런데 정책 입안자의 경우에는 충분히 이러한 부작용을 고려해서 변화를 주어야 한다.

경제학에서는 다른 사회과학에서도 마찬가지이지만 인과관계에 대해서 관심이 많다. 왜냐하면 인과관계가 명확히 파악되면 원인을 조절해서 결과를 바꾸면 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책에서 범죄에 대한 이야기를 했다. 소위 깨진 창문 이론(Broken window theory)에 따르면 소소한 문제를 내버려 두면 큰 문제로 번지다는 것이다. 이 이론의 깨진 창문을 고치지 않고 내버려두면 사람들은 거기에 쓰레기도 버리고 더럽게 사용한다는 것이다. 반대로 창문이 번듯하게 잘 고쳐져 있고 깨끗하면 사람들도 깨끗하게 쓴다는 것이다. 이를 연장시켜서 생각해보면 일반 환경을 제대로 해야 범죄도 잘 일어나지 않는다고 볼 수 있다. 즉 깨끗한 환경(거꾸로 작은 범죄)이 원인이고 범죄가 결과이다. 이론은 이 두 변수들과의 관계를 보는 것인데 사회과학에서 인과관계를 파악하는 것은 지극히 어렵다. 자연과학에서야 결과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여러 요인을 통제할 수 있는데 사회과학에서는 그런 것이 매우 어렵기 때문이다. 범죄에 영향을 주는 것이 경제상황이 될 수도 있고, 교육이 될 수도 있고, 심지어 날씨도 될 수 있다. 이런 가능한 모든 변인을 통제하고 관심있는 변수들간 인과관계를 보아야 한다. 다행히 여러 통계기법의 발전으로 인하여 통제하는 방법이 고안되었고 경제학자들은 경제문제는 아니지만 사회여러 문제에 대해서 어느 변수가 범죄를 줄이는 지에 대해 과학적인 연구를 했다(물론 경제학자 뿐만 아니라 다른 학문의 연구자도 경제학의 기법을 빌려서 연구를 했다). 하지만 이것도 쉽지 않은 것이 어느 부분을 대상을 했냐에 따라 그 인과관계가 달리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같은 문제를 미국을 대상으로 연구한 것과 이탈리아를 대상으로 한 것은 다를 수 있기 때문이다. 인과관계 자체가 확실한 경우를 내적 타당성이 높다고 이야기할 수 있고 그 인과관계가 어느 정도 일반화될 수 있냐의 문제는 외적 타당성문제가 된다. 그런데 내적 타당성이 높다고 외적타당성이 모두 높은 것은 아니다. 경제학적인 사고방식을 가지고 사회의 여러문제에 대한 답을 하는 스타일을 이 책은 설명해준다.

'Book'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울건축만담>  (0) 2019.07.21
<법학입문>  (0) 2019.07.19
<두개의 시선 하나의 공감>  (0) 2019.07.17
<군주론>  (0) 2019.07.15
<논쟁으로 본 한국사회 100년>  (0) 2019.07.12
posted by ysl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