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리스트
국립현대미술관에 해당되는 글 1건
- 2021.07.14 <국립현대미술관 청주>
글
우리나라의 수도권 밀집현상은 사회적으로 큰 문제다. 지방균형발전 정책에도 불구하고 사람들이 꾸준히 수도권으로 모여드는 데는 여러 이유가 있을 것이다. 여러 이유 중에 하나가 문화시설이 수도권에 몰려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우리나라가 개발도상국이었던 시절에는 문화에 관심을 갖는 사람이 적었다. 그저 호구지책에 신경을 썼을 뿐이다. 하지만 우리나라도 선진국 대열에 올라설정도로 경제가 성장하면서 문화에 대해서도 신경을 쓰는 사람들이 늘어났다. 이러한 수요를 채워주는 시설이 대부분 수도권에 쏠여 있기 때문에 수도권에 사는 것이 삶의 메리트로 작용하게 되었다. 물론 이론상으로는 두메산골에서도 시간을 내서 서울로 문화를 감상하기 위해서 상경하고 다시 돌아가면 된다. 하지만 말이 쉽지 문화는 생활속에 가까이 있어서 더 잘 즐길 수 있다. 결과적으로 삶의 질이 더 올라가게 된다. 삶의 질이 더 나은 곳에서 살고 싶은 것은 사람의 원초적인 욕구다. 그러므로 문화시설이 잘 구비된 곳으로 이사오는 것은 아주 당연한 일이다. 그런 의미에서 2018년에 개관한 국립현대미술관 청주점은 국토균형발전측면에서 반가운 일이다.
청주는 충청북도의 간판도시로 경부고속도로 인근에 위치해 있어서 서울에서 전혀 밀리지 않고 쉬지 않고 달리면 1시간 30분이면 갈 수 있는 곳이다. LG생활건강이나 SK반도체 공장 등 여러 기업체가 들어와 있어서 경제활동이 왕성한 곳이다. 그런데 메가도시로 성장이 안되는 이유가 문화적인 면이 좀 부족했다. 물론 청주는 직지의 도시라는 이름을 밀고 있다. 직지란직지심체요절의 줄임말로 흥덕사에서 1377년에 세계최초로 금속활자로 책을 제작한 것이다. 그만큼이나 문화에 대한 자부심이 있다. 그런데 실상은 그렇지 않다. 고려시대에 만들어진 이 책이 분명히 중요한 우리나라의 역사적 유산이기는 하지만 현대인들이 직지를 읽고 다니지는 않는다. 서울 사람이 보기에는 청주의 문화시설은 택도 없이 부족하다. 그래서 살기는 좋은 데 매력이 좀 떨어지는 느낌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현대미술관의 개관은 청주에서 살아야할 이유를 하나 더했다.
현대미술관 청주분관에서 가장 눈에 띄는 전시시설은 수장고(우리나라 최초 개방형 수장고라고 한다)다. 수장고의 사전적 의미는 '귀중한 것을 고이 간직하는 창고'이라고 하는데 박물관, 미술관 전시실에서 일정 기간 노출된 유물이 보관되는 곳으로 항온, 항습 기능을 갖추고 있다. 일반인의 눈에는 예술작품들의 창고같다. 그래서 그동안 아름답게 전시되어야만 할 것 같은 예술작품들이 수두룩하게 전시되어 있다. 처음에는 이래도 되나 싶은 느낌이 드는데 일반 전시시설과는 다른 색다른 느낌을 준다.
이 시설이 더 호기심이 가는 것은 원래 건물이 연초제조장이었다고 한다. 그래서 건물에서 담배를 가공했다고 한다. 그런데 2004년에 공장이 가동 중단되었고 급속히 동네가 쇠락해갔다고 한다. 이러한 상황에서 도시재생사업으로 현대미술관이 들어오게 된 것이다. 경제기반형 도시재생 선도사업으로 선정되어 문화제조당도 들어오게되었다. 이렇게 죽어가는 도시에 예술의 혼이 들어오니 지역의 활기가 돌아왔다.
가끔 예술이 우리의 삶에 무슨 관계가 있을 까하는 생각이 들 때가 있다. 당장 문화예술이 없더라도 먹고사는데 문제가 없기 때문이다. 오히려 문화예술이 먹고사는 데 도움을 주지 못한다고 생각할 수 있다. 하지만 조금만 깊게 생각해보면 퇴근 후에 보는 티비 드라마부터 길거리에서 잠시 관심을 줄 수 있는 조각상까지 모두 문화예술이 녹아들어있다. 이 문화예술이 칙칙한 사회를 생기있게 해준다. 물론 BTS나 봉준호 같은 거물의 업적이 아니더라도 우리가 힘들 때 흥얼거리는 유행가부터 인생을 큰 감명을 주는 예술작품은 여러 측면에서 긍정적인 효과가 있다.
'Exhibiti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원주한지테마파크> (0) | 2021.09.06 |
---|---|
<돈의문 박물관 마을> (0) | 2021.07.15 |
<The Art of the Brick> (0) | 2021.07.03 |
<숭례문> (0) | 2021.07.02 |
<누보로망 삼국지> (0) | 2021.06.17 |
RECENT COMMENT